본문 바로가기
인테리어 체크리스트

인테리어 공사 순서 한눈에 보기 – 리모델링 단계별 체크리스트

by Small Home Diary 2025. 4. 20.
반응형

우리집 인테리어 시작, 인테리어 공정 순서 알아보기

 

 

 

 

 

 

 

인테리어, 어디서부터 어떻게 시작되나요?

인테리어를 하기로 마음먹었을 때
가장 먼저 드는 생각은 바로 이거예요.
“그럼 뭘 먼저 하지?”

도배부터? 가구부터? 욕실 철거부터?

막상 계획을 세우려 하면
공정이 어떻게 흘러가는지 몰라서
막막해지는 분들이 정말 많습니다.

오늘은 20평대 기준 인테리어 공정의 기본 순서
가볍게 정리해드릴게요.
시작 전에 큰 흐름만 알아두어도
준비가 훨씬 수월해진답니다 :)

 

 

 


📋 인테리어 공정 순서 (거의 모든 집에 해당하는 흐름이에요)

0. 공사 사전 준비

시공 전에 꼭 필요한 사전 단계예요.
✔️ 공동주택 시에는 관리사무소에 공사신고
✔️ 엘리베이터, 층간 보호 매트 요청
✔️ 이사 일정과 공사 일정 조율
✔️ 현장 열쇠나 디지털 도어록 등록

✔️ “공사는 어디서부터 시작되나요?” 보다 먼저,
**“무엇을 준비해야 하나요?”**를 먼저 체크해보는 게 좋답니다.

 

 

 

 


1. 철거 공정

기존 자재, 가구, 마감재 등을 모두 철거합니다.
도배, 장판, 싱크대, 욕실 기기 등을 제거하는 단계예요.

✔️ 철거 전에는 전기, 가스, 수도 차단 확인도 꼭 필요하답니다.

 

 

 

 


2. 설비 / 배관 / 전기 공사

보이지 않는 ‘속 공사’ 단계예요.
수도배관, 콘센트 위치, 스위치 배선 등을 조정합니다.

✔️ 조명 위치나 주방 콘센트 위치 변경은 이때 미리 결정해둬야 해요.

 

 

 

 


3. 목공 및 벽체 작업

붙박이 가구 제작, 가벽 설치, 몰딩 교체 등
목수 작업이 들어갑니다.
집의 기본 구조를 잡는 중요한 공정이에요.

✔️ 현관 중문, 벽 선반, 가구 사이즈도 이 시점에 맞춰요.

 

 

 

 


4. 타일 및 바닥 공사

욕실 타일 시공, 주방 벽면 타일,
전체 바닥재(강마루, 장판 등)를 시공합니다.

✔️ 타일은 특히 마감 퀄리티가 집의 완성도를 결정짓는 요소랍니다.

 

 

 

 


5. 필름 시공 (도어·가구·몰딩 리폼)

기존 문, 가구, 몰딩을 철거하지 않고 리폼할 경우
필름 시공으로 리뉴얼합니다.
예산이 제한될 때도 많이 활용되는 방식이에요.

✔️ 필름 시공은 먼지와 냄새에 민감한 공정이라
도배/도장 전에 진행해야 깔끔하게 마무리됩니다.

 

 

 

 


6. 도장 / 도배 / 천장 작업

벽면 페인트나 도배를 진행하고,
필요 시 천장 몰딩이나 마감도 이 시점에 마무리돼요.

✔️ 색감을 바꾸고 싶은 분들은 이 단계에서 공간의 분위기가 크게 바뀌어요!

 

 

 

 


7. 가구 및 조명 설치

붙박이장, 키친수납장, 조명, 중문, 액세서리류 설치!
‘살림집’의 형태가 완성되는 시점이에요.

✔️ 조명은 반드시 ‘공간별 기능’에 따라 밝기/위치 고려해서 설치해요.

 

 

 

 


8. 청소 및 하자 확인

시공이 마무리되면 전체 청소, 실리콘 보강,
하자 보수 확인 등 꼼꼼히 체크하는 마무리 단계입니다.

✔️ 문짝 열림 상태, 수전 누수, 콘센트 작동 여부 등 반드시 점검해야 합니다.
✔️ 그리고 공사 직후 바로 입주하기보다 1~3일 정도 입주 여유 기간을 확보하면,
미처 발견하지 못한 하자나 실리콘 마감 등
1차 하자 보수를 받을 수 있는 시간적 여유가 생긴답니다.
바쁘더라도 이 시기를 확보하는 걸 추천드려요!

 

 


🧾 마무리하며…

공정의 순서를 알고 시작하면
디자인보다 ‘공사’가 얼마나 체계적인 작업인지 알게 됩니다.

공사를 맡기더라도
이 흐름을 알고 있는 것만으로도
담당자와의 소통, 일정 체크, 체크리스트 작성이 훨씬 수월해진답니다.

우리집 인테리어,
첫걸음부터 차근차근 같이 준비해봐요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