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인테리어 체크리스트

인테리어 상담 받기 전, 미리 알고 가면 좋은 체크리스트 👊

by Small Home Diary 2025. 4. 17.
반응형

 

 

 

 

 

 

요즘은 인테리어 상담을 받으러 가도
단순히 ‘예쁜 집이요!’만 외쳐선 원하는 결과를 얻기 어려워요.

실제로 상담을 받아보면
"어떤 스타일 원하세요?", "예산은요?", "이 구조 바꾸실 건가요?"
등등 예상치 못한 질문이 쏟아지거든요.

그래서 오늘은 인테리어 상담 전에 미리 준비하면 좋은 체크리스트 7가지를 정리해봤어요.
이 내용만 체크하고 가셔도,
막연한 상담이 아닌 ‘내 집에 딱 맞는 인테리어’로 대화를 시작하실 수 있을 거예요.

 

 


✅ 1. 예산 범위는 꼭 정해두기

‘예산은 정해본 적 없어요…’라는 말은
인테리어 업체 입장에서 정말 어려운 답이에요.

최소~최대 예산 범위를 정해두면
그에 맞는 자재, 스타일, 공사 범위까지 빠르게 가닥이 잡혀요.
예: “전체 공사 예산 2000~2500만 원 정도로 생각 중이에요.”

 

 


✅ 2. 공사 범위를 구체적으로 정리하기

부분 공사인지 전체 공사인지,
도배만 할 건지, 주방이 포함되는지 등 공사 범위를 정리해두면
상담 시간도 줄고 견적도 정확해져요.

예: “거실과 주방만 리모델링하고, 욕실은 손 안 댈 예정이에요.”

 

 


✅ 3. 라이프스타일 정보 공유 준비하기

인테리어는 단순히 공간을 꾸미는 게 아니라,
그 집에서 ‘어떻게 사는지’에 대한 반영이기도 해요.

아이와 함께 사는 집인지, 반려동물이 있는지,
재택근무를 자주 하는지 등 생활 패턴을 정리해두면
공간 제안도 훨씬 현실적으로 받을 수 있어요.

 

 


✅ 4. 선호 스타일, 레퍼런스 이미지 준비하기

말로만 "깔끔한 느낌", "감성적인 스타일"이라고 하면
상담자마다 해석이 다르기 때문에 오히려 혼란스러워질 수 있어요.

인스타, 핀터레스트, 블로그에서 마음에 드는 이미지 몇 장 저장해가기!
이게 가장 명확한 커뮤니케이션 방법이에요.

 

 


✅ 5. 현재 집 구조도 or 도면 준비하기

가능하다면, 기존 평면도나 도면을 준비해가면
공간에 대한 이해가 훨씬 쉬워져요.

없다면 직접 치수를 재거나, 사진을 찍어가는 것도 OK!
특히 창 위치, 베란다 유무, 구조 변경 가능 여부는 큰 영향을 줘요.

 

 


✅ 6. 우선순위를 정해보기

"욕실이 예뻤으면 좋겠어요" vs "전체적으로는 모던한 스타일을 원해요"
막연하게 말하면, 결국 어디에 집중해야 할지 알기 어려워요.

예산 대비 어디에 가장 집중하고 싶은지, 우선순위를 정리해보세요.
예: "주방에 제일 신경 쓰고 싶고, 침실은 최대한 간단하게요."

 

 


✅ 7. 입주 일정 & 시공 일정 체크하기

공사 시작 가능한 시기와, 입주 희망 날짜를 미리 정리해두면
상담 시 일정 조율이 훨씬 수월해요.

공사는 보통 2~4주 이상 소요되기 때문에,
미리 일정을 정해두는 게 전체 플랜을 짜는 데 꼭 필요해요.

 

 


🧾 마무리하며…

 

 

인테리어 상담은 단순히 ‘집 꾸미기 얘기’를 넘어,
현실과 감성 사이의 균형을 맞추는 첫걸음이에요.

막연하게 상담을 받는 것보다
오늘 정리한 체크리스트를 참고해서 준비해보면
훨씬 더 만족스러운 결과를 얻을 수 있을 거예요 😊

반응형